1-11.面白い!!韓国語ライティング添削授業

韓国語ライティング添削授業-「日本における病院の定義と役割」

投稿日:2019年11月3日 更新日:

1.はじめに

第1週・第3週の土曜日と毎週日曜日にSkype、Lineなどのインターネットメッセンジャーを使いオンライン授業をやっています。授業の中に「ライティング添削」の部分があります。その一部をポスティングします。

「日本における病院の定義と役割」に関する内容でした。

無料ライティング添削も提供していますのでご参考ください。

無料ライティング添削サービス申込み

2.生徒さんか書いた文書(韓国語)

以下は生徒さんが韓国語で書いてきた「일본에서의 병원의 정의와 역활」に関する内容です。

일본에서의 병원의 정의와 역활

일본에서의 병원의 정의와 역활에 대해 살펴보니 “공익사단법인 전일본병원협회” 홈페이지에 간결하게 설명해준 글이 있기에 한번 변역해보고자 한다.

1.병원과 진료소의 차이는?

먼저 병원과 진료소는 환자 침대 (병상) 수가 다릅니다.

병상수가 20개 미만인 경우 진료소이고, 20개 이상이면 병원입니다.
진료소 중에는 병상이 없는 “무병상 진료소”도 많고 2010년 10월 현재로 99,824개 있는 진료소 가운데 89,204개가 “무병상 진료소”입니다.
덧붙여서 병원은 8,670개 있습니다.

병원과 진료소는 병상수 외에도 여러가지 다른 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의사 인원수가 다릅니다.
진료소의 경우 의사 한명 밖에 없는 곳도 많은데 병원의 경우 의사가 적어도 3명 이상 있어야 합니다.
그 위에 진료소에서는 의사가 진찰하는 환자수에 제한이 없지만 병원에서는 “외래 환자 40명 당 의사 한 명” 그리고 “입원 환자 16명 당 의사 한명”이 필요하다고 정해져 있습니다.

2.병원의 기능

병원에 기능은 규모나 지역의 의료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크게 구분하여 “입원 기능”과 “외래 기능”의 두 가지가 있습니다.
그에 덧붙여 고령화가 진행하는 가운데 “재택 기능”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종합 검진이나 각종 건강 검진 등 예방 활동도 합니다.

(중략)

3.병원의 조직

병원의 조직은 규모에 따라 다릅니다.
기본적으로는 진료 부문 (의국), 간호 부문, 의료 기술 부문 (약제과, 검사과, 방사선과, 영양과, 재활치료과 등), 그리고 사무 부문의 주로 4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정보 관리, 경영 기획, 의료 상담 등 여러 영역에서 담당되는 전문 분야가 있을 수도 있지만 병원의 규모에 따라 집약이나 겸업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3.添削内容

まず、全体の修正が必要な部分を説明してから、一つ一つの文章の添削を説明します。

3.1.全体の修正が必要な部分

全体の構成などには問題見当たりませんが、日本語では受け身で表現するのが韓国語では能動態で表現する場合がありますのでに注意しましょう。

3.2.一つ一つの文章の添削

일본에서의 병원의 정의와 역활
添削が必要ない文章です!

일본에서의 병원의 정의와 역활에 대해 살펴보니 “공익사단법인 전일본병원협회” 홈페이지에 간결하게 설명해준 글이 있기에 한번 변역해보고자 한다.
この文章では「간결하게」より「간단하게/이해하기 쉽게」の方が良いです。
간결하게->간단하게/이해하기 쉽게

1.병원과 진료소의 차이는?
添削が必要ない文章です!

먼저 병원과 진료소는 환자 침대 (병상) 수가 다릅니다.
添削が必要ない文章です!

병상수가 20개 미만인 경우 진료소이고, 20개 이상이면 병원입니다.
添削が必要ない文章です!

진료소 중에는 병상이 없는 “무병상 진료소”도 많고 2010년 10월 현재로 99,824개 있는 진료소 가운데 89,204개가 “무병상 진료소”입니다.
添削が必要ない文章です!

덧붙여서 병원은 8,670개 있습니다.
前の文書が「입니다」で終わって追加の表現ですので同じにした方が自然です。
있습니다->입니다.

병원과 진료소는 병상수 외에도 여러가지 다른 점이 있습니다.
添削が必要ない文章です!

예를 들어 의사 인원수가 다릅니다.
添削が必要ない文章です!

진료소의 경우 의사 한명 밖에 없는 곳도 많은데 병원의 경우 의사가 적어도 3명 이상 있어야 합니다.
添削が必要ない文章です!

그 위에 진료소에서는 의사가 진찰하는 환자수에 제한이 없지만 병원에서는 “외래 환자 40명 당 의사 한 명” 그리고 “입원 환자 16명 당 의사 한명”이 필요하다고 정해져 있습니다.
그 위에->그 외에

2.병원의 기능
添削が必要ない文章です!

병원에 기능은 규모나 지역의 의료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크게 구분하여 “입원 기능”과 “외래 기능”의 두 가지가 있습니다.
添削が必要ない文章です!

그에 덧붙여 고령화가 진행하는 가운데 “재택 기능”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添削が必要ない文章です!

그 외에도 종합 검진이나 각종 건강 검진 등 예방 활동도 합니다.
添削が必要ない文章です!

(중략)

3.병원의 조직
添削が必要ない文章です!

병원의 조직은 규모에 따라 다릅니다.
添削が必要ない文章です!

기본적으로는 진료 부문 (의국), 간호 부문, 의료 기술 부문 (약제과, 검사과, 방사선과, 영양과, 재활치료과 등), 그리고 사무 부문의 주로 4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添削が必要ない文章です!

그 외에도 정보 관리, 경영 기획, 의료 상담 등 여러 영역에서 담당되는 전문 분야가 있을 수도 있지만 병원의 규모에 따라 집약이나 겸업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日本語では受け身で表現するのが韓国語では能動態で表現する場合がありますのでに注意しましょう。
겸업되는->겸업하는

4.添削を完了した文書

일본에서의 병원의 정의와 역할

일본에서의 병원의 정의와 역활에 대해 살펴보니 “공익사단법인 전일본병원협회” 홈페이지에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준 글이 있기에 한번 변역해보고자 한다.

1.병원과 진료소의 차이는?

먼저 병원과 진료소는 환자 침대 (병상) 수가 다릅니다.

병상수가 20개 미만인 경우 진료소이고, 20개 이상이면 병원입니다.
진료소 중에는 병상이 없는 “무병상 진료소”도 많고 2010년 10월 현재로 99,824개 있는 진료소 가운데 89,204개가 “무병상 진료소”입니다.
덧붙여서 병원은 8,670개 입니다.

병원과 진료소는 병상수 외에도 여러가지 다른 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의사 인원수가 다릅니다.
진료소의 경우 의사 한명 밖에 없는 곳도 많은데 병원의 경우 의사가 적어도 3명 이상 있어야 합니다.
그 외에 진료소에서는 의사가 진찰하는 환자수에 제한이 없지만 병원에서는 “외래 환자 40명 당 의사 한 명” 그리고 “입원 환자 16명 당 의사 한명”이 필요하다고 정해져 있습니다.

2.병원의 기능

병원에 기능은 규모나 지역의 의료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크게 구분하여 “입원 기능”과 “외래 기능”의 두 가지가 있습니다.
그에 덧붙여 고령화가 진행하는 가운데 “재택 기능”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종합 검진이나 각종 건강 검진 등 예방 활동도 합니다.

(중략)

3.병원의 조직

병원의 조직은 규모에 따라 다릅니다.
기본적으로는 진료 부문 (의국), 간호 부문, 의료 기술 부문 (약제과, 검사과, 방사선과, 영양과, 재활치료과 등), 그리고 사무 부문의 주로 4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정보 관리, 경영 기획, 의료 상담 등 여러 영역에서 담당되는 전문 분야가 있을 수도 있지만 병원의 규모에 따라 집약이나 겸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5.おわりに

本内容が皆さんのライティング練習に役に立ったらいいなと思います。

何か気になる点などがありましたらコメントを残してください。

日本における病院の定義と役割

 

日本における病院の定義と役割について調べてみたところ、公益社団法人全日本病院協会のサイトに簡潔な説明があったので翻訳してみた。

1.病院と診療所の違いは?
 病院と診療所の違いは、まずベッド(病床)の数です。
 病床が20床未満であれば診療所、20床以上であれば病院。診療所のなかには、病床を持たない「無床診療所」が多く、2010年10月現在、99,824施設ある診療所のうち、89,204施設が無床診療所です。ちなみに、病院は、8,670施設あります。
 病院と診療所には、病床数以外にも、さまざまな違いがあります。たとえば、医師の数。診療所の場合、医師1人という施設が多いですが、病院の場合、最低3名以上の医師がいることが求められます。さらに、診療所では医師1人が診る患者数に制限はありませんが、病院では、「外来患者40名に対して医師1名」「入院患者16名に対して医師1名」が必要とされています。

2.病院の機能
 病院の機能は、規模や地域の医療環境などによって異なりますが、大きく分けて入院機能と外来機能の二つがあります。そして高齢化が進むなかで重要性が増してきているのが、在宅機能です。そのほか、人間ドッグや検診などの予防活動もあります。

(中略)

3.病院の組織
 病院の組織は、規模などによって異なります。基本的には、診療部門(医局)、看護部門、医療技術部門(薬剤課、検査科、放射線科、栄養科、リハビリテーション科など)、事務部門の4つから成り立っています。そのほか、情報管理、経営企画、医療相談など、さまざまな専門領域の担当がありますが、病院の規模によって集約・兼業される場合が多いです。

-1-11.面白い!!韓国語ライティング添削授業

執筆者:


comment

関連記事

no image

韓国語ライティング添削授業-「韓国料理」

1.はじめに 週末にSkype、Lineなどのインターネットメッセンジャーを使い、オンライン授業をやっています。授業の中に「ライティング添削」の部分があります。その一部をポスティングします。 今回は「 …

韓国語ライティング添削授業-「ジムにいる変な人」

1.はじめに 週末にSkype、Lineなどのインターネットメッセンジャーを使い、オンライン授業をやっています。授業の中に「ライティング添削」の部分があります。その一部をポスティングします。 今回は「 …

韓国語ライティング添削授業-「豚コレラ」

1.はじめに 第1週・第3週の土曜日と毎週日曜日にSkype、Lineなどのインターネットメッセンジャーを使いオンライン授業をやっています。授業の中に「ライティング添削」の部分があります。その一部をポ …

韓国語ライティング添削授業-「図書館の思い出」

1.はじめに 第1週・第3週の土曜日と毎週日曜日にSkype、Lineなどのインターネットメッセンジャーを使い、オンライン授業をやっています。授業の中に「ライティング添削」の部分があります。その一部を …

no image

韓国語ライティング添削授業-「懐かしい庭」

1.はじめに 週末にSkype、Lineなどのインターネットメッセンジャーを使い、オンライン授業をやっています。授業の中に「ライティング添削」の部分があります。その一部をポスティングします。 今回は「 …